Take a Hike!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I must have stood out as an Asian in the suburbs of a small city in Spain that is overlooked by tourists. A granny asked me, “What country are you from?” She beamed when I answered, “Korea.” “Oh, I hear you have so many mountains there!” Hmm. How did the word get around all the way here? “It’s true. Mountains …
03.27.2024

14일이다, 지갑을 열어라!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장을 보러 갔더니 삼겹살 세일을 하고 있었다. 산더미처럼 쌓인 삼겹살이 모래성 무너지듯 사라지기에 나도 본능적으로 인파를 헤치고 나아가 한 팩을 손에 넣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시름에 잠겼다. 내가 마지막으로 집에서 삼겹살을 구운 게 어언 27년 전이던가. 기름이 무진장 튀어서 다신 하지 않았지. 내가 이걸 왜 샀을까, 생각이라는 걸 하고 살자. 착잡한 마음을 달래려 인터넷에 들어갔다가 깨달았다. 오늘은 3월 3일, 삼겹살 세일을 했던 까닭이 있었구나. 한국의 3월 3일은 삼겹살데이니까. 삼겹살데이는 2003년 돼지 구제역으로 피해를 당한 농가를 돕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지금은 평소에도 많이 먹는 삼겹살을 오늘도 먹어보자, 정도의 핑계가 되긴 했지만. 참고로, 예로부터 음력 3월 3일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삼짇날이다. 한국에는 삼겹살데이 말고도 숱한 ‘데이’가 존재한다. 11월 11일은 연인이나 가족에게 1자 모양 과자 빼빼로를 선물하는 빼빼로데이다. 제조사에 의하면 1990년대에 영남 지역 여학생들 사이에서 퍼진 풍습이라고 하지만, 진실은 저 너머에. 어쨌든 빼빼로 1년 매출의 50% 이상이 빼빼로데이에 나온다고 한다. 난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지만, 괜찮다. 난 원래 빼빼로를 안 먹는다고. 흥, 빼빼로 따위! 선물은 내용보다 포장과 기분이라지만, 그깟 빼빼로 따위! 2월 14일이 밸런타인데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거다. 그런데 …
03.20.2024

14日だ、財布を開け!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買い物に行くと、焼き肉用のサムギョプサルがセール中だった。山積みの豚バラ肉が、まるで波にさらわれる砂の城のようになくなっていくのを見て、私も本能的に人ごみをかき分けて進み、1パック手に入れた。帰宅して、憂鬱な気分になった。最後に家でサムギョプサルを食べたのって、27年前では? 油跳ねがあまりにひどくて、家ではもう二度としなかった。どうしてこんなものを買ってしまったのか。少しは考えてから行動できないものか。複雑な気持ちを落ち着かせようとインターネットを開いて、気づいた。今日は3月3日。サムギョプサルのセールには、ちゃんと理由があったのだ。韓国の3月3日は、「サムギョプサルデー」だから。 サムギョプサルデーは、2003年、豚の口蹄疫による被害にあった農家を支援するために作られたそう。韓国語で数字の「3」の発音が「サム」であることから、3月3日にはサムギョプサルを食べよう ということになった。今となっては、普段からたくさん食べているサムギョプサルを今日も食べるための言い訳のようになっている。ちなみに、旧暦の3月3日は、遠く南へ飛んで行ったツバメが帰ってくると言われる、春の訪れを告げる節句「サムジンナル」だ。韓国には、サムギョプサルデーのほかにも、多くの「デー」が存在する。11月11日は、数字の「1」の形をしている「ペペロ」(ポッキーに似たお菓子)を恋人や家族に贈る、「ペペロデー」。メーカーによると、1990年代に慶尚道(キョンサンド)地方の女子生徒たちの間で広まった風習らしいが、真偽は定かではない。とにかく、このペペロデーに販売されるペペロの数は、年間売上の50%以上を占めるという。私は一度ももらったことがないのだが、べつに悔しいとは思わない。そもそもペペロなんて食べないし。ふん、ペペロなんて! プレゼントは中身よりラッピングや気持ちだと言うけれど、ペペロなんて! 2月14日が「バレンタインデー」だということは、誰もが知っているだろう。韓国のバレンタインデーは、もともと女性から男性にチョコレートを贈る日だったのが、今は …
03.20.2024

Happy Unofficial Holidays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I went to the market and pork belly was on sale. Packs of sliced pork belly were piled high like a mountain, and knowing that it’ll surely come apart soon like a sand castle, so I, too, elbowed through the crowd to grab a pack. Then I returned home and brewed in deep buyer’s remorse. It’s been 27 years …
03.20.2024

내 나이 일흔, ‘스밍’을 하노라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집 근처 공연장 앞을 지나던 길이었다. 사진이 들어간 티셔츠와 부채, 머리띠 같은 굿즈를 파는 부스 앞을 지나는데… 뭔가 이상한데…. 아, 굿즈를 사러 모여든 손님 대부분이 예순은 너끈히 넘어 보이는 어르신들이었다. 열기가 끓어오른다기보다는 신바람이 넘쳐서 어깨춤이 절로 나올 듯한 분위기랄까. 그곳은 <미스터 트롯> TOP7 콘서트장이었다. 트로트는 ‘성인가요’나 ‘뽕짝’이라고도 불리는 한국 대중음악 장르다. ‘성인가요’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예나 지금이나 어르신들이 즐기는 장르지만, 어린아이들도 트로트 한두 곡쯤은 구성지게 불러 젖히곤 한다. 명절이나 환갑잔치에서 트로트를 부르면 용돈 액수가 달라지니까. 트로트에는 크게 구슬픈 계열과 흥겨운 계열이 있는데, 흥겨운 계열의 경우, 젊은이들도 흥을 돋우며 대동단결하는 용도로 자주 부른다. 같은 노래를 다 함께 목청껏 부르노라면 오늘 만난 신입생이 죽마고우가 되고 쓰디쓴 소주가 사이다보다 달콤해지는 거지. 어쨌든 대체로 공원에서 술판을 벌이는 불량한 어르신들 곁을 지날 때나 듣던 트로트가 시도 때도 없이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그것도 난생처음 듣는 가수의 목소리였다. 이건 뭐지, 송가인이 대체 누구지. 그렇다, 송가인. 시즌 1의 우승자, 대한민국 트로트의 판도를 바꾼 거물, 멀쩡하게 살아있는데 고향 진도에 송가인 공원까지 생긴 전설. 그리고 시즌 1에서 임영웅이 우승하면서 세상이 달라졌다. 칙칙했던 노년의 …
03.13.2024

我70にして「スミン」をするなり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家の近くのライブ会場の前を通りかかったときのこと。写真付きのTシャツにうちわ、カチューシャなどを売る物販ブースの前を歩いていたら……なにかがおかしい。グッズを買いに集まっている客の大半が、60歳をとうに超えているかと思われる高齢者だったのだ。熱気に沸き立っているというよりは、興に乗って踊っているような雰囲気。そこは、『明日はミスター・トロット』というオーディション番組のTOP7(上位7人)のコンサート会場だった。 トロットは、「成人歌謡」や俗に「ポンチャック」とも呼ばれる、韓国の大衆音楽のジャンルだ。「成人歌謡」という名称からもわかるように、今も昔も年配の方々に好まれるたぐいの音楽だが、小さな子どもでも、渋いトロットのひとつやふたつは上手に歌ってみせる。親戚が集まる正月や秋夕(チュソク、旧暦8月15日に行われる伝統行事)、還暦祝いなどの場でトロットを歌うと、もらえるお小遣いの額が変わってくるからだ。また、トロットには、大きく分けると「悲しい」系と「楽しい」系があるが、このうち「楽しい」系の曲は、若者も意気投合して盛り上がるときによく歌ったりする。『南行列車』や『無条件』などの曲をみんなで声の限り歌っていると、今日出会ったばかりの新入生は幼なじみみたいになるし、焼酎の苦い味はサイダーよりも甘く感じられるのだ。 とにかく、だいたい公園で酒を飲んでいる不健全なご老人たちの横を通るときくらいしか聞くことの …
03.13.2024

Trot Is Hot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There is a performing arts center near my home. I was walking past a merch booth displaying print-photo t-shirts, handheld fans, and hair bands, and it occurred to me that the elbowing crowd surrounding the booth looked to be well over sixty. There was excitement in the air. Not the screaming kind …
03.13.2024

민들레를 사냥하는 계절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인간과 잡초의 역사를 다룬 책 <미움받는 식물들>에는 이런 내용이 나온다. 미국인들은 잔디밭 풍경을 망친다는 이유만으로 민들레를 몰아내고자 강력한 제초제를 개발했다고. 왜 그랬을까, 민들레가 보기 싫으면 먹어서 없애면 될 텐데. 한국에선 연한 민들레 잎을 따서 된장에 무치고 김치와 장아찌도 담그는데. 하얀 민들레는 몸에 좋아서 약으로 쓰고 차로 끓인다던데. 민들레처럼 누군가의 눈에는 잡초로 보이는 작고 보잘것없는 식물들. 그걸 한국인들은 ‘나물’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나물은 계절이 바뀌는 신호다. 시장에 냉이가 나오면 겨울이 가나 보다 하고, 두릅이 나오면 이제 진짜 봄이로구나 한다. 날이 더워지면 호박잎을 쪄서 쌈을 싸기 시작한다. 나물은 제철이 짧기 때문에 가끔은 등을 떠밀리는 기분도 느낀다. 향긋한 유채나물을 먹을 수 있는 기간은 2월에서 4월까지. 한 번이라도 더 먹으려면 서둘러야만 한다. 그렇다면 겨울엔 뭘 먹어야 할까. 제철 나물을 데치거나 삶아 말린 ‘묵나물’이 있다. 신선하지는 않지만 향이 진하고 씹는 맛이 좋아진다. 나물은 먹는 법도 다양하다. 보통은 살짝 데쳐서 된장이나 참기름에 무친다. 이건 반찬으로도 좋지만 몇 가지를 밥에 얹어 고추장에 비비면 외국에서도 인기가 많다는 비빔밥이 된다. 된장국 재료로도 훌륭하다. 냉이나 달래, 쑥을 넣은 된장국은 그것 하나만으로도 맛과 향이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음식으로 태어난다. 곰취나 호박잎은 그냥 데치기만 해서 쌈장을 …
03.06.2024

タンポポ狩りの季節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人間と雑草の歴史を扱った『Lives of Weeds(雑草の生命)』という本によれば、米国人は、芝生の景観を損ねるという理由だけで、タンポポを駆除するための強力な除草剤を開発したそうだ。どうしてそんなことをするのだろうか。タンポポを見たくないなら、食べてしまえばいいのに。韓国では、柔らかいタンポポの葉っぱを摘んで、味噌和えやキムチ、漬物などにする。白いタンポポは体に良いとされ、薬やお茶にするらしい。タンポポみたいに、人によっては雑草でしかない、小さくて取るに足りない植物。そんな植物のことを、韓国人は「ナムル」と呼ぶ。 韓国では、ナムルは季節の変化を知らせるシグナルだ。市場にナズナが出てくると、冬の終わりが近づいてきたと感じ、タラの芽が並び始めると、もうすっかり春になったのだと実感する。暑くなってきたら、カボチャの葉っぱを蒸して、ご飯やおかずを包んで食べる。ナムルは旬が短いので、急かされるような気分になることだってある。かぐわしい菜の花が食べられるのは、2月から4月までの間。一度でも多く食べるには、急がなければならない。なら、冬には何を食べればよいのだろうか。旬のナムルを茹でたり煮たりしてから干した、「ムクナムル(古くなったナムル)」というものがある。新鮮な味はないけれど、もっと香りが濃くて、歯ごたえもよくなる。 ナムルは食べ方も色々だ。普通はさっと茹でて、味噌やごま油で和える。そのままでもおかずとしておいしいが、何種類かをご飯にのせて、コチュジャンを入れて混ぜると、海外でも人気だというビビンパになる。また、味噌汁の具としても優秀だ。味噌汁にナズナやヒメニラ、ヨモギを入れると、それだけで味や香りがすっかり変わり、新しい料理に生まれ変わる。オタカラコウやカボチャの葉っぱはそのまま茹で、サムジャ …
03.06.2024

The Dandelion Hunter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Lives of Weeds , a book on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eeds and humans, mentions that Americans developed strong herbicides to eradicate dandelions to keep their lawns impeccable. Why go to all that trouble? When you can just eat them? In Korea, tender dandelion leaves are picked and …
03.06.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