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카페에서 길을 잃다
음료를 주문하고 진동벨을 받아 엘리베이터에 탄다. 4층에서 내려 계단을 올라가면 루프탑. 어디에 앉을까 드넓은 실내를 둘러보며 한 층 한 층 걸어 내려오는데 벌써 벨이 울린다. 이런. 서둘러 2층에 자리를 잡으려니 중년 남성인 일행이 거부한다. 대형 곰돌이 인형 포토존까지 있는 귀여운 공간은 싫다는 거다. 루프탑은 햇살이 강렬하고 4층은 좌식이어서 아이들이 많고. 그렇다면 논밭 뷰가 한눈에 들어오는 무난한 3층으로 가자. 먼저 앉아있을 테니 못 찾겠으면 전화해. 오다가 길 잃어버리지 말고. 여기가 어디일까. 흔하디흔한 한국의 ‘대형 카페’다. 2018년 파주에 공장을 개조한 카페가 문을 열면서 대형 카페가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서울 근교인 김포와 파주 등이 먼저였고 차츰 지방에서도 경치 좋은 외곽을 중심으로 대형 카페들이 속속 문을 열었다. 컨셉은 다양했다. 식물 카페(식물이 많다), 유럽풍 카페(유럽풍이다), 노을 맛집 카페(노을이 좋다), 호수 뷰 카페(호수가 보인다), 핑크뮬리 카페(정원에 핑크뮬리가 있다), 계곡 카페(계곡 앞에 있다)…. 대부분 천정이 높고 주차가 편하고… 비싸다. 음료도 비싸고 빵과 케이크도 비싸다. 그리고 리뷰에 이런 문장이 흔히 등장한다. “커피 맛은 보통이지만 맛이 중요한가요?” 그럼 뭐가 중요하다는 거지. 앞에서 나열한 대형 카페의 특징을 다시 보자. 뷰와 인테리어와 정원을 강조하고 있지 않은가. 한국의 대형 카페는 마 …
02.28.2024
Supersize My Cafe
We place our order, get a buzzer disc, and take the elevator to the fourth floor. From there, one more flight of stairs will take us to the rooftop. But the sun is blazing so we rule it out, as well as the fourth floor that has floor seatings and too many kids around. We go down each storey …
02.28.2024
“Thai” Means Freedom: We Nickname Our Children as We Please
Embarking on a journey into the global workplace, I found myself faced with that familiar moment: the introduction. Working remotely, I braced myself behind my computer screen to type out those words in our common chat room, “Hello everyone, my name is Title”. It is a simple statement, yet it lies in …
02.22.2024
"Thai" Berarti Kebebasan: Kami Memanggil Anak Sesuka Hati Kami
Ketika memasuki dunia kerja, saya menghadapi momen yang tidak asing lagi: perkenalan. Bekerja dari jarak jauh, saya mempersiapkan diri di depan layar komputer untuk mengetikkan pesan di ruang obrolan kami, "Halo semuanya, nama saya Title". Ini adalah ungkapan sederhana, tetapi merupakan bagian dari …
02.22.2024
Mu Kratha Menyembuhkan Segalanya
Keluarga saya memiliki tradisi lama yang sudah berlangsung selama dua dekade: kumpul keluarga pada hari Minggu. Bahkan di Thailand yang penduduknya adalah pencinta kuliner, komitmen kami untuk mengadakan acara makan-makan mingguan selama 20 tahun merupakan suatu keajaiban. Jumlah orang yang hadir …
02.14.2024
Mu Kratha Heals Everything
My family has a long-standing tradition that’s been going strong for two decades: a Sunday family gathering. Even in food-loving Thailand, our commitment to hosting a weekly feast for 20 long years is something of a wonder. Last Sunday’s headcount was a whopping 15, a sizable gathering that rivals a N …
02.14.2024
Sticker Shock: This (Black) Car is Blue
When I was asked to further explore aspects of Thai culture related to color, I couldn’t help but chuckle. Perhaps, I was now considered an expert, having written a couple of articles on the subject (you can find those articles here and here ). Things that are a part of my daily life are apparently s …
02.07.2024
Slickbacking in Crocs
A shopping mall opened nearby that’s iffy in many ways. Neither big nor small in size with stores selling products with iffy positioning. Confusing for shoppers, and it was no wonder that business was underwhelming from the get-go. With one exception: the Crocs popup store with a colorful array of c …
01.31.2024
크록스 신고 슬릭백을
집 근처에 애매한 쇼핑몰이 생겼다. 애매한 규모의 매장에서 애매한 컨셉으로 물건을 파니 손님들도 애매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영업 초기부터 한적했던 쇼핑몰을 둘러보는데, 오직 한 매장에만 사람이 붐볐다. 꼬마들이 환장한다는 신발, 알록달록 귀여운 크록스 팝업 스토어였다. 크록스를 처음 본 건 캐나다에서였다. 이 나라 사람들은 이상한 신발을 신는구나, 물 새는 바가지처럼 생겼는데. 하지만 크록스는 이내 한국에서도 유행을 탔고, 장마철에 좋아 보이길래 나도 하나 샀다. 비웃을 때는 언제고 유행에 편승하는 나 자신을 조금 부끄러워하면서. 그리고 알게 됐다. 크록스는 원래 서핑하면서 신으라고 일부러 구멍을 냈다는 사실을. 일종의 수륙양용이랄까. 그런데 크록스를 유독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꼬마들과 10대들,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 병원에서 크록스가 인기 있는 건, 어느 치과 블로그에서 말하기를, 편하고 위생적이며 안전해서라고 한다. 그렇다면 아이들은 어째서 크록스를 좋아하는 걸까. 귀여워서? 지비츠를 달아 개성 있게 꾸미는 재미로? 에스컬레이터 앞에는 아이들이 고무로 된 슬리퍼나 샌들, 그러니까 상표만 밝히지 않았을 뿐이지 크록스를 신으면 위험하다고 적혀있던데? 어쨌든 요즘 아이들은 크록스를 좋아해서 겨울에도 크록스만 고집한다는 엄마들의 한탄이 인터넷에 넘쳐난다. 한겨울에도 크록스 신고 유치원에 가는 아이 때문에 학대하는 부모로 보일까 걱정된다고도 한다. 그래서 나 …
01.30.2024
조선의 과부는 《밤에 피는 꽃》
한국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홀아비는 이가 서 말, 과부는 은이 서 말. 홀로 된 남자는 살림을 챙기지 못하여 곤궁하지만 홀로 된 여자는 야무지고 알뜰해 살림이 편다는 뜻이다. “과부는 찬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속담도 있다. 과부는 남편 시중들 필요가 없으니 마음이 편하다는 뜻이다. 다이어트에 실패한 사람들이 본인은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고 변명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의미임에 유의하자. 하지만 조선 시대 과부, 특히 양반 가문의 과부는 처지가 달랐다. 원고를 쓰고 있는 현재 기준 방영 3회 만에 전국 시청률 10%를 넘긴 드라마 에는 15년 차 과부의 절절한 사연이 넘쳐난다. 얼굴도 보기 전에 남편이 죽어버린 것만 해도 억울한데, 외간 남자와 신체가 닿으면 팔이 잘리고 눈이 뽑힐 거라는 악몽에 시달린다. 먹는 것을 멀리하라는 시모의 분부에 눈물로 순종해야 한다. “하루 한 끼 풀만 먹으며 뒷간에 가지 못하면 몸과 마음이 더 정갈하지 못할 텐데”라면서. 그래, 해보니까 알겠더라, 하루 한 끼만 먹으며 다이어트를 하면 변비가 생긴다는 걸. 그러면 피부가 나빠지고 배가 나온다는 걸. 심지어 대낮에 외출하는 건 꿈도 못 꿀 일이다. 과부의 재혼이 금지된 건 고려 말부터 시작된 풍습이다. 조선 시대엔 과부의 수절이 더욱 권장되어 죽음으로 남편을 따르면 열녀문을 하사하고 그 가문엔 세금을 면제해 주거나 자손에게 벼슬을 내렸다고 한다. 그리하여 타살을 자 …
01.24.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