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a Joseon Widow, Lonely Is the "Knight Flower"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There’s a Korean saying that a widower has 100 pounds of lice and a widow 100 pounds of silver. It means that a man living alone falls into poverty by mismanaging his home but a woman living alone gains wealth by being frugal and efficient. There’s another saying that a widow puts on weight merely by …
01.24.2024

정봉이네는 연탄이 천 장!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모처럼 눈이 많이 왔다. 그렇다면 구경을 나가야지. 아직 눈이 녹지 않은 숲에 갔더니 경사만 보였다 하면 눈썰매를 타는 꼬맹이들. 경사가 진 길은 모두 눈이 다져져 미끄러워 보였다. 골다공증 기미가 있는 중년에겐 몹시 위험하다는 뜻이다. 사뿐히 발길을 돌려 집으로 향하며 떠올렸다. 그 옛날 꼬마들은 동네 언덕배기에서 비닐 포대를 썰매 삼아 놀고, 어른들은 그 뒤에서 득달같이 연탄재를 뿌리곤 했는데. 미끄러지지 말라고. 이제 연탄은 없다, 거의. 그러니 연탄재도 없다. 아쉬워라. 연탄은 동아시아에서 주로 쓰였던 연료다. 무연탄을 굳힌 다음 연소가 잘되도록 구멍을 여러 개 뚫어 난방이나 조리에 사용하곤 했다. 아궁이에 불씨가 남은 연탄과 새 연탄을 포개 넣으면 저녁부터 새벽까지 방바닥이 뜨끈뜨끈해서 기나긴 겨울밤이 두렵지 않았다. 전기밥솥이 흔치 않던 시절이라 아빠의 퇴근이 늦는 날이면 가장 따뜻한 아랫목 이불 아래 밥공기를 묻어두기도 했다. 그러니 월동 준비를 하려면 무엇보다 연탄을 쟁여야 했다. 드라마 에는 복권 당첨으로 하루아침에 부자가 된 정봉이네 집에 연탄 천 장이 들어가는 장면이 나온다. 세상에, 천 장이라니. 지나가던 선우 엄마가 부러워할 만도. 1988년 한국에선 78%에 달하는 가정이 연탄을 주 연료로 사용했다고 한다. 곤란한 순간도 많았다. 불씨가 남은 연탄을 깨뜨리거나 연탄 두 장이 모두 타버리면 불씨를 되살릴 방법이 없었다. 정봉이 아빠도 고뇌했지, …
01.17.2024

Lights Burn Out on Burning Coal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It hasn’t snowed for a while, but it snowed a lot this time. Time to go outside and check it out. I headed to a mountain hillside looking for pristine snow, but lo and behold, incline-loving little ones have taken over the hill. And their sleds have packed down the snow, an icy hazard for a m …
01.17.2024

1월이면 수프를 끓이지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냄비에 버터를 두르고 고기와 양파를 볶다가 물을 넉넉히 붓는다. 여기에 치킨 스톡 한 알, 토마토퓌레와 토마토, 당근, 양배추, 셀러리 등을 넣고 끓인다. 냉장고에 있는 야채는 무엇이든 넣어도 상관없다. 야채가 익으면 카레 가루로 간을 맞춘다. 보기에 심히 좋지 않고 그다지 맛도 없는 이 음식은 무엇인가. 요즘 내가 사는 도시 맘카페 회원들이 너도나도 끓여대고 있는 ‘마녀 수프’다. 풀어서 말하자면, 다이어트 야채수프다. 마녀 수프에 제철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닌데, 어째서 1월이 되자마자 하루에도 몇 번씩 마녀 수프를 끓였다는 게시물이 올라오는 걸까. 새해이기 때문이다. 1월, 온갖 부질없는 계획을 세우는 시절, 2월이 되면 한갓 몽상으로 밝혀질 그 목록에 빠지지 않는 것은 다이어트. 1월이 되면 피트니스 클럽은 할인 프로그램을 내놓고, 한의원은 다이어트 한약을 할인 판매하고, 닭가슴살 같은 다이어트 식품 판매 업체는 할인 패키지를 홍보한다. (그래서 나도 샀다, 냉동 닭가슴살 두 박스.)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놀고, 뭐든 열심히 하기로 유명한 나라 한국에선 다이어트도 이렇게 열심히 한다. 2021년 기준 OECD 국가 중에서 한국 15세 이상 인구의 과체중 및 비만 비율은 뒤에서 두 번째다. 영광의 꼴찌는 일본이 차지했다. 사실 1월만 다이어트의 계절인 것은 아니다. 경주는 지난 연말 이미 시작됐다. 온갖 연말 모임에서 오래간만에 사람들 만날 걱정에 휩싸인 …
01.10.2024

Bewitching soup for January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First, butter the pan and stir fry some meat and onions before adding plenty of water. Throw in a chicken bouillon cube, tomato chunks, tomato puree, carrots, cabbage, and celery and bring to a boil. Feel free to grab any vegetable from the fridge and throw it in. When the vegetables are cooked …
01.10.2024

만화 볼까, 카페 갈까?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한국에는 방이 많다. PC방, 노래방, 빨래방, 찜질방, 보드게임방…. 수많은 놀이 시설과 편의 시설을 한국인은 ‘방’이라고 부른다. (전화방 같은 퇴폐 시설도 있기는 하다. 불특정 여성들과 전화를 연결해 부끄러운 대화를 나누는 시설이다.) 그 대부분은 내가 성인이 되고 나서야 접했지만 어린 시절부터 들락거리던 방이 하나 있다. 만화방,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 시간이 남아돌던 어린아이와 백수들의 천국. 만화책 수천 권에 둘러싸여 과자를 먹으며 노닥거리던 게으른 자들의 낙원. 지금은 많은 이에게 잊힌 추억의 이름이다. 그렇다면 만화방은 사라진 것인가. 이제는 출판 만화보다 웹툰이 인기 있고, 만화책을 보더라도 인터넷으로 보니까? 그렇지 않다. 만화방은 만화만 보는 곳이 아니었다. 신간을 점검하고, 앞에 앉은 동행과 감상을 교환하고, 새벽까지 술을 마시다 첫차 시간을 기다리며 라면으로 숙취를 달래던 다목적 공간이기도 했다. 만화방은 사라지지 않았다. 만화 ‘카페’가 되었을 뿐. 2014년 홍대 앞에 만화 카페라고 부를 만한 곳이 처음으로 생겼다. 당시 백수였던 나는 역시 백수인 친구의 손을 잡고 그곳에 놀러 갔다. 담배 연기에 찌든 비닐 소파가 지겨워지던 참이었다. 거기 가면 카페처럼 예쁜 소파와 쿠션 위에 널브러져서 카페에 온 것처럼 아이스 아메리카노 따위의 음료를 마시며 쾌적하게 만화를 볼 수 있다고 했다. 직접 가보니, 과연 그러했다. 그곳에서 김치볶음밥과 …
01.03.2024

A bang-up place to lounge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Korea has a lot of bangs . PC bangs (cybercafes), noraebangs (singing rooms), laundry bangs , jjimjilbangs (bath houses), and board game bangs , to name a few. Many places of amusement and convenience are called “ bangs ” (rooms) in Korea. (There are even a few naughty places like the telephone ban …
01.03.2024

漫画読む? カフェ行く?

Jardín Kim

Lead Korean Writer

01.02.2024

잠 카렛: 인도네시아의 '고무 시간'

Audrey Hadi

Project and Community Manager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나간 1년을 돌아보고 다가올 1년을 계획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런 성찰과 계획에 필수적인 시간이라는 개념은 문화에 따라 다르지요. 몇 주 전, 저와 친구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시간을 인식하는 방식에 관해 긴 대화를 나눴습니다. 대화를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잠 카렛’이라는 개념이 나왔답니다. ‘잠 카렛’은 ‘고무 시간’이라고 직역되는 인도네시아 단어입니다. 고무처럼 유연하고 탄력적인 인도네시아인의 시간 개념을 보여주지요. 5시에 누군가와 만날 약속을 잡았다고 칩시다. 몇몇 문화권에서는 당연히 시간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므로, 4시 50분쯤 약속 장소에 도착해 5시 정각에 상대를 만날 겁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에선 다릅니다. 5시에서 5시 30분 사이에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거든요. 비즈니스 미팅이나 콘퍼런스, 학술회의 등을 비롯한 전문적인 행사에선 문화적인 맥락과 기대치가 매우 다르므로, 이런 변수에 좀 더 엄격한 분위기이긴 합니다. ‘잠 카렛’은 유연성뿐만 아니라 불확실성도 담고 있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교통 체증을 만나면 약속 시간은 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 달라지게 되니까요. 홍수처럼 예상 밖의 중대한 사건이 일어나면 계획은 며칠 단위로 매우 유연하게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인들이 ‘끄마린(어제)’이라는 단어를 쓰면 전날의 일을 말하는 걸 수도, 과거 불특정 시점을 말하는 걸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베속(내일)’이라는 단어는 다음 날이 될 수도 …
01.01.2024

ジャム・カレット:インドネシアの時間の概念

Audrey Hadi

Project and Community Manager

新年は、過去を振り返り、未来の計画を立てるのに絶好の時期だ。しかし、それらを考えるのに必要な「時間」の概念は、文化によってかなり異なる。数週間前、友人とインドネシア人の時間の捉え方について長々と語り合ったが、「ジャム・カレット」の話になるまで、そう時間はかからなかった。 「ゴムの時間」と訳されるインドネシア語の「ジャム・カレット」は、柔軟性と弾力性に富んだ時間の感覚を、見事に表している。インドネシアでは、午後5時に会う約束をしたからといって、必ずしも5時ちょうどに会えるわけではない。おそらく、5時から5時30分のどこかで会うことになるだろう。時間厳守が期待され、5時の待ち合わせのためには4時50分に到着していなければならない文化圏とは、少し異なる。とはいえ、仕事の打ち合わせや行事となると話は別で、気まぐれな時間感覚にはあまり寛容ではないので、注意が必要だ。 「ジャム・カレット」は、時間の柔軟性だけで …
01.01.2024